"수능 국어" 공부의 십계명 !

01

문학 개념, 문법, 고전 운문의 지식은 배워라.

02

모든 지식은 ‘배움' ⇒ '복습' ⇒ '체득' 의 3단계를 거쳐야 한다.

03

문제는 빨리 풀고, 피드백을 오래 하라.

04

피드백 해야 하는 것은 다음의 3가지다. 지문에서 정보 해석이 안된 부분, 헷갈렸던 선택지, 틀린 문제 이다.

05

피드백 후에 본인의 지식이 부족해서 틀렸다고 판단되는 문제는, 반드시 그 지식을 찾아 습득해라.

06

틀린 문제는 정답이 나오는 올바른 논리를 분석하고, 자신이 틀린 이유를 파악하고, 그 후 주기적(1~2 주에 한번 정도)으로 본다. 이 때 주의해야 할 것은 문제의 올바른 논리와 함께 자신이 틀린 이유-그 것이 실력이든, 실수이든-를 인식하려 노력해라.

07

당해 EBS 문학 작품은 반드시 숙지해라.

08

파트별 마스터키를 익혀라.

09

시험 성적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자신의 준비되어 가고 있음에 집중하라.

10

문제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통해 자기 자신을 분석해라.

교재 안내

공지 사항

  • 27
  • Dec

홈페이지 회원 가입 절차

2019-12-27

회원 가입 방법

1. 정석민 선생님의 현장 단과 학생만 회원 가입이 가능합니다.

2. 홈페이지 상단 회원 가입 버튼을 클릭합니다.

3. 학생 성명, 학부모님 휴대폰 번호를 입력 후, 휴대폰 인증 버튼을 클릭합니다.

*만약 본인이 받는 출결 문자가 (이름+알파벳)으로 온다면 똑같이 기입 (ex: 정석민A)

4. 문자로 수신한 인증 번호를 입력 후, 회원 가입을 완료합니다.


로그인 방법

1. 아이디는 학생 이름을 '한글'로 기입하시길 바랍니다. (e.g. 정석민)

2. 비밀번호는 본인이 설정한 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주의사항: 본인의 이메일이 아이디가 아니라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퇴원생은 사이트 이용이 불가합니다.


최근 질문 질답

  • 1
  • Nov

학습게시판 이용 종료 안내

2025-11-01 정진* (50470)

안녕하세요, 연구실장입니다.


우리 현장 전용 게시판은 11월 1일 (토)까지 운영한 후 종료할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수능 이틀 전인 11월 12일 오후 9시까지는 현장생들은 '대성마이맥 사이트'에서 답변을 제공할 계획이며, 세부 내용을 꼭 확인하시어 이용에 불편 없으시길 바랍니다.


1. 대성마이맥 사이트는 현장생인지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질문 내용 첫 줄에 '어느 학원, 어느 시간대, 어느 학교, 이름'을 꼭 적시 부탁드립니다.

예시: 현장생 분당두각, 6시30분, 정석고, 정진정입니다. // 현장생 대치세정, 아침8시30분, 정석고, 정민석입니다.


2. 이감 관련 질문은 올리실 때, 반드시 '비밀글'을 설정하여 업로드 부탁드립니다. '비밀글'을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질문 유형'을 '학습법'이나 '기타'로 설정한 후, 아래로 스크롤 시 나오는 '게시글 비공개'를 선택.

-> 만약 '질문 유형'을 '강좌'나 '교재'로 설정할 시, '게시글 비공개'를 선택할 수 없습니다. 꼭 질문 유형을 '학습법'이나 '기타'로 설정하시길 바랍니다.

-> 이감은 저작권 때문에 타인에게 공개가 되면 안 되니, 만약 '게시글 비공개'를 선택하지 않고 업로드할 시 모두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위 내용 꼭 지켜 마이맥 게시판 이용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31
  • Oct

25학년도 9월 모평 34번

2025-10-31 박윤* (51174)

1. 34번 선지들같이 ‘A라면 B겠군’ 형태에서는 A가 무조건 맞다고 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B를 판단해야 하나요? 3번 선지에서 ‘오뉴월’의 ‘자취눈’이 화자의 복잡한 심경을 비유한 표현이라고 되어 있는데, 저는 그게 ‘온 말(참소)’라고 생각해서 질문드립니다.

2. 만약 A가 무조건 맞다고 보아야 한다면, 3번 선지에 뒷부분(B)이 틀린 이유가 그것의 내용을 지문에서 찾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봐야 하나요?

  • 31
  • Oct

20231108

2025-10-31 송혜* (50841)

23학년도 수능 8번 문제에 5번 선지요 (나)지문에 밑에서 네번쨰줄부터 보면 문명의 척도로 역겨진 기존의 중화 관념에서 탈피하지 않으면서도 서학 수용의 이질감과 부담감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다고 나와있는데 선지 보면 중화관념에 구애되지 않는다고 나와있는데 이게 중화관념에서 탈피하지 않는다는게 구애된다는것과 같은 말로 봐도 되는건가요? 뭔가 구애는 얽매이는것 약간 벗어나지 못하게 가둬놓는다?그런 맥락으로 알고있었는데 탈피하지 않는다는것은 그냥 그 맥락에서 벗어나지 않고 중화관념에 근거한다 이정도로 이해했는데 

  • 31
  • Oct

1인칭vs 3인칭 제한적 전지적 작가 시점

2025-10-31 백연* (50164)

1인칭은 ‘나’ 나오면 되고 3인칭 제한적 전지적 작가 시점은 전지적 작가 시점과 달리 인물의 이름은 나오는데 다른인물의 감정을 추측하는건가요?